메뉴 건너뛰기

건강보험 공단소식

  • 카카오톡 상담 (모바일)
  • 네이버톡으로 상담하기

심장을 조이는『대동맥판 협착』질환,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

▶ 2016년 총 진료환자 10,681명 … 남성 5,033명, 여성 5,648명

- 70대 이상(7,136명, 66.8%), 60대(2,240명, 21.0%), 50대(892명, 8.4%) 순

대동맥판 협착 ☞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문 역할을 하는 ‘대동맥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임. 이렇게 판막이 좁아져서 잘 열리지 않으면 심장에서 대동맥으로 피를 내보내기 힘들게 되고, 심장은 피를 온몸으로 내보내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게 되며 결국 심장의 근육은 더 두꺼워지게 되지만, 나가는 피의 양은 제한되어 호흡곤란, 흉통 및 실신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됨

□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직무대리 김필권)은 2011~2016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동맥판협착(I13.50)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진료인원은 2011년 5,838명에서 2016년 10,681명으로 연평균 12.8%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남성은 2011년 2,794명에서 2016년 5,033명으로 연평균 12.5%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1년 3,044명에서 2016년 5,648명으로 연평균 13.2% 증가하였다.

○ 2016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 70대 이상(7,136명, 66.8%)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2,240명, 21.0%), 50대(892명, 8.4%) 순으로 나타났다.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신상훈 교수는 50대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대동맥판 협착의 가장 흔한 원인은 연령증가에 따른 판막의 석회화이며 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진행되는 질환이다. 따라서, 50대 이하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반면 연령이 증가할 수록 대동맥판 협착 질환이 증가하는 이유다“고 설명하였다.

- ’대동맥판 협착‘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시 문제점에 대해 “대동맥판 협착 증의 치료는 질환의 상태와 진행 속도, 환자의 증상 및 환자의 동반 질환 등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심각한 심장 합병 증으로 진행하여 호흡곤란, 폐부종 등 심부전 증상과 반복적인 실신 및 급사의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 2016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보면

○ 남성은 70대 이상 171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50명, 50대 12명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 161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37명, 50대 9명 순으로 나타났다.

□ ‘대동맥판 협착’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 160억 원에서 2016년 447억 원으로 연평균 2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입원 진료비는 2011년 138억 원에서 2016년 399억 원으로 연평균 23.6% 증가하였고, 외래는 같은 기간 22억 원에서 48억 원으로 17.3% 증가하였다.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신상훈 교수는 ‘대동맥판 협착증’ 의 예방법, 진단 ? 검사 및 치료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대동맥판 협착’ 질환의 증상 및 원인

- (증상) 대동맥판 협착증의 심한 정도는 경도에서 중증도로 다양하게 분포한다. 증상은 판막 협착이 심할 때 나타나게 되며, 그 증상은 아래와 같다.

· 흉통 또는 가슴 조임

· 어지러움

· 피로함. 특히 활동량이 증가했을 때

· 숨이 참. 특히 힘든 일을 할 때

· 가슴 두근거림. 심장 박동이 빠르게 떨리는 느낌

· 심한 경우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사망 가능

- (원인) 대동맥판 협착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다.

· 선천성 심장 이상

· 연령 증가에 따른 판막의 석회화 : 고령이 가장 흔한 원인.

· 류마티스열

○ ‘대동맥판 협착’ 질환의 예방법

- 대동맥판막 질환은 대부분 퇴행성 원인이므로 질환 자체를 일차적으로 예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대동맥판 협착증이 진단되면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정기적인 추적관찰 및 수술, 시술등의 결정을 심장 전문의와 잘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 ‘대동맥판 협착’ 질환의 진단 ? 검사

- 대동맥판 협착증 증상이 의심된다면 먼저 심장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 판막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심장전문의는 청진을 통해 심잡음을 확인하게 되며,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폐부종 여부도 확인하게 된다.

- 가장 중요한 검사는 심장 초음파 검사로 실제 판막의 움직이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다. 대동맥판 협착이 확인이 되면 추가로 경식도 심장초음파나 운동부하검사 심도자 검사 등을 할 수도 있다.

○ ‘대동맥판 협착’ 질환의 치료법 및 수술법

- 현재 어떠한 약물치료도 대동맥판 협착을 정상화 시킬 수는 없다. 다만 환자의 호흡곤란을 완화하거나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병행한다.

- 중증 대동맥판 협착증의 치료방법은 수술적 방법이 추천된다. 수술은 흉곽과 심장을 열어 손상된 판막을 제거하고 새로운 판막을 넣어주는 방법이다.

- 다만 환자의 전신상태에 따라 수술적 방법을 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특히, 대동맥판 협착증은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고령의 환자가 많고, 이 경우 수술을 견디기 힘든 경우가 많다.

- 따라서, 최근에는 경피적 대동맥판막 삽입술(Transcatheter Aortic Valve Implatation, TAVI)이라고 하여 대퇴부나 어깨 쪽 혈관을 통해 인공판막을 경피적으로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는 수술에 비해 환자의 몸에 부담이 적고 회복시간이 빨라 일상생활로 빠르게 돌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