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강보험 공단소식

  • 카카오톡 상담 (모바일)
  • 네이버톡으로 상담하기

 

 

 

지난해 2월 원주의 한 병원에서 100여 명이 만성 C형 간염에 집단 감염되는 사태가 발생했고, 그 이후에도 몇 차례 집단 감염되는 사례가 있었다. 그런데 집단 감염 환자 중 일부가 치료 비용이 부담된다는 등의 이유로 치료를 포기하는 등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다.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받지 않으면 2차 전파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만성 C형 간염의 심각성 및 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알릴 필요가 있어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9월 C형 간염을 전수 감시 대상 질환으로 전환하고, '만성 C형 간염 예방 및 관리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 C형 간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대한간학회에서 지난해에 전국 20~ 59세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는데, 응답자 10명 중 한 명만이 만성 C형 간염 검사를 받았다고 했다. 국가 건강 검진 항목에 포함돼 있지 않은 만큼, 검사율이 다른 간염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이다. 만성 C형 간염을 진단받고도 치료받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63%가 "질병의 심각성을 몰라서", 36%는 "특별한 이유가 없어서"라고 답했다.

만성 C형 간염은 치료를 미루면 간경화·간암 등 더 심각한 간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환자의 최대 56%가 20~25년 안에 간경병증을 동반하며, 비감염자 대비 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20배 이상으로 높다. 다행히도 만성 C형 간염은 완치가 가능한 병이다. 최근 출시된 경구 치료제들은 96%가 넘는 완치율을 보이며, 부작용도 적다. 아직까지 약제 비용이 기존 치료제보다 더 들기는 하지만, 점차 가격이 인하될 것이라 기대한다.

만성 C형 간염은 백신이 없어서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고, 이미 감염된 사람들은 빨리 진단을 받도록 해서 감염 경로를 차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감시 체계 구축 및 모니터링이 적극 강화돼야 할 것이다. 국가검진 도입도 필요하다.

정부는 현재 유병률이 높은 지역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검사한 뒤, 결과에 따라 국가검진 도입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한다. 대한간학회는 만성 C형 간염을 박멸하기 위해서는 국가검진에 빨리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치료가 늦어질수록 치료 성공률이 낮아지고, 치료 비용 역시 늘어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